전체 글(5)
-
스마트한 대중교통 이용방법
나날이 상승하고 있는 고물가 시대에 내 지갑과 통장만 텅텅 비고 있는 것 같은 요즘 8월 12일 대중교통비(서울시 기준)도 인상됐죠. 정말 내 월급 빼고는 다 오르고 있다는 말이 실감됩니다. 오늘은 스마트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알뜰교통카드에 대하여 포스팅하려고 합니다.(특정 카드 영업 아님) 알뜰교통카드란?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하여 지급하고 카드사의 추가할인 혜택까지 포함하면 대중교통비를 최대 30%까지 절감할 수 있는 교통카드를 말합니다. 알뜰교통카드 혜택은? 혜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집니다. 첫번째 마일리지 적립방식으로 인한 교통비의 최대 20% 적립 방식과 두번째는 발급받은 카드사의 추가 10% 할인까지 최대 30% 할인이 가능합니다. ..
2023.08.21 -
전기세 아끼면서 캐시백(feat.신청방법)
막바지 폭염이 기승을 부리고 있는 요즘 올여름에도 에어컨의 힘으로 잘 버틸 수 있었는데요. 틀 때는 좋은 에어컨 사용할 때마다 매번 전기세 걱정이 드는 건 어쩔 수가 없네요. 전기세를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은 이미 인터넷이나 언론 매체를 통해 다양한 방법들이 나와있는데 오늘은 전기를 절약하면서도 일정 조건이 충족되면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에너지 캐시백"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신청하고 나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해도 상관없으니 무조건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신청대상은 아래와 같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신청방법과 적용시기 캐시백 지급방법은? 매월 산정된 캐시백은 다음 달 전기요금 청구 시에 반영됩니다. 단, 캐시백 산정 기간 중에 신청자의 주소지가 변경된 경우에는 캐시백 지급이 제외됩니다. 캐시백 산정방법과..
2023.08.16 -
차량가액 조회 방법
오늘은 차량가액 조회하는 방법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차량가액이란 쉽게 말해 현재 내가 가지고 있는 차량의 가치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2019년 구매한 그랜저 차량이 그 당시 출시가와 출고연도를 기준으로 매년 연식에 따른 감가상각비를 적용한 금액이 차량가액입니다. 기관마다 산정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용도에 맞게 조회해서 참고하셔야 합니다. 차량가액을 조회기관과 용도 먼저 확인 후에 필요에 맞게 조회하시면 됩니다. 홈택스 - 근로장려금 지급 - 자녀장려금 지급 - 취등록세 납부 보험개발원 - 자동차 보험료 책정 - 사고발생 손해액 청구 -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보조금 - 공공 국민주택 분양자격 및 입주조건 자산 측정 - 복지대상선정(기초수급자, 차상위계층, 기초연금 등등) 포털 검색창에 홈택스 검색 후에 ..
2023.08.14 -
성실한 납세자를 위한 세금포인트
우리가 살면서 필연적으로 납부할 수밖에 없는 여러 종류의 세금 몇 개월 전 우연찮게 뉴스를 보고 세금포인트라는 것을 알게 되었네요. 세금포인트는 국세청에서 세금을 더 잘 납부할 수 있게 독려함은 물론 성실한 납세자에게 혜택을 주려는 취지로 2004년 04월 01일부터 시행한 제도라고 합니다. 내 포인트가 얼마이고 어디에 사용가능한지 포스팅해 보도록 할게요. 검색창에 "국세청 홈텍스"라고 검색하여 클릭해서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세금포인트 조회를 클릭하면 로그인하라는 화면이 나오며 인증가능한 인증서로 로그인을 하면 아래와 같이 해당연도별로 적립된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는데 자진 납부한 세액 10만 원당 1점이며(고지서를 받고 납부한 세액은 10만 원 당 0.3점) 중간에 마이너스 포인트는 ..
2023.08.11 -
휴대폰 명의 도용 확인 방법과 방지법
한동안 코로나가 정점을 찍었을 때에는 일상의 모든 것을 가능한 비대면으로 진행하였습니다. 금융 업무 및 휴대폰 개통과 같은 업무도 마찬가지... 내 신분증을 습득한 누군가 내 명의의 휴대폰을 개통하여 대출을 받는다거나 계좌에 있는 돈이 털렸다는 뉴스도 심심찮게 들려왔었는데요. 이 모든 것이 나도 모르게 내 명의로 개통된 휴대폰 하나로 발생한 일입니다. 이러한 억울한 일이 없도록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할 수 있는 팁을 공유해 볼게요. 포탈검색창에 "엠세이퍼"라고 치면 최상단에 엠세이퍼 사이트가 뜹니다..(네이버 구글 상관없음) 접속해서 들어가면 아래 화면과 같이 사이트가 나오며 로그인을 클릭해서 들어갑니다. 로그인을 하기 위해서는 인증서를 통해 로그인을 해야 하는데 공동인증서를 제외한 네이버나 다른 간편 인..
2023.08.10